All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는...
거기서 잠깐.
체중증량 프로젝트

도대체 어떤 학생을 뽑으라는 걸까..
서울대의 입시정책이 요즘 교육계의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수능으로 부족한 변별력을 논술로 대체하여 일종의 '본고사'를 통해 학생을 변별하겠다는 것있데, 그것에 대해 노대통령은 크게 반발하며 유감을 표했다. "세계 유수 대학들중에 학생들을 서열화 하여 선발하는 곳은 없다. 1%의 학생을 뽑으려 하지말고 충분히 우수한 5%이내의 학생을 발전시켜야 하지 않는가?" 라는 요지로 대학 본고사를 반대했다. 그런데 우수한 5%의 인재를 어떻게 구분해야 할지 궁금하다. 내신을 믿으라는 말은 요즘 자주 터지는 시험 문제 유출 등의 사건을 보면 내신이 믿을 만 하다라는 말을 무색하게 만들 뿐더러 사실 유출 되지 않은 시험 문제라 할지라도 난이도가 너무 낮다. 100점이 학급의 반이 넘게 나오는 경우도 있는 이런 시험에서 무슨 변별력을 기대한단 말인가.
솔직히 고등학교 다니면서 내신 시험 문제가 어렵게 나왔다고 생각한적은 한번도 없다. 하루 벼락치기 과목당 3시간씩 9시간만 공부하면 평균 90점이 너머 나오는 시험이 변별력이 있다고 볼수는 없지 않을까. 그렇다고 학교에서 무턱대고 어렵게 낼 수도 없었다. 왜냐하면 내가 학교다닐 시에는 절대평가제 였으니까. 그리하여 요즘에는 다시 상대평가제를 채택한것 같은데 학생들의 반발이 거세다. 이유는 학교를 전쟁터로 만들 뿐더러, 내신만으로 학생을 평가할 수 있겠냐는 건데, 그렇다고 수능만으로 학생을 평가할 수 있을까? 고등학교 3학년 직전까지 펑펑 놀다가 1년 제대로 공부하면 아니 문제집만 많이 풀어도 소위 'sky'라는 곳에 들어갈 수 있는 점수가 나오는 수능이 변별력이 있다고는 말 못할 것이다.
그리하여 나온게 논술이다. 논술은 그나마 학생의 지적소양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더 좋은 방법은 장시간동안의 면접을 통해 학생의 지적수준을 판별하는 것이겠지만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 게다가 실력은 상당한데 사람앞에서 말을 잘 못하는 사람도 있을 터 그럴 때에는 논술이 가장 좋은 대안이 아닐까 생각한다. 아니 논술이라기 보단 주관식 한문제라고 봐도 되겠지. 학생이 지원한 과에 비슷한 주제의 논술이라면 변별력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게 내 생각이다. 여기서의 문제는 교수의 양심에 있겠지. 논술의 탈을 쓴 서술식 문제야 말로 가장 확실한 5%의 학생을 뽑는 방법이라 생각했는데, 이것을 반대한다면 도대체 대안은 무엇인가?

사교육 가열은 잠시 접어두자. 어떠한 대안을 마련한다 해도 결국 한국의 사회에서 사교육이 없어질 수는 없다고 본다. 이건 한국인의 특성 이 만들어낸 결과라 보기 때문에 의식이 바뀌지 않는 이상은 제도로는 잡기 힘들다.
2005/07/09 09:56 2005/07/09 09:56
http://www.rokkim.com/tt/trackback/90
jy
  2005/07/09 10:43 | link | edit or delete | write reply 
주관식 1문제..운으로 아는 문제 나왔다면?
고등학교 3학년 직전까지 펑펑 놀다가 1년 제대로 공부하면 아니 문제집만 많이 풀어도 소위 'sky'라는 곳에 들어갈 수 있는 점수가 나오는 수능이 -> 정말인가요? 그런데 왜 다들 못하죠? 잘하는 사람들이나 그렇겠죠
시험지 유출 -> 어쩌다 한두명일텐데
  2005/07/09 11:04 | link | edit or delete | write reply 
jy님. 주관식 1문제가 운으로 아는 문제가 나오는 경우와.
시험지 유출. 한 반의 반이 100점 등으로 내신 1등급이 한 학교의 30%인 경우 중. 어느 쪽이 더 많죠?

어쩌다 한두명일 테니까 시험지 유출 및 내신관리 부실로 인한 실력 하향편준화 문제는 별 거 아니고, 주관식 1문제가 운으로 아는 문제 나오는 경우는 반정도씩이나 될 거 같아서 별 문제란 말씀입니까?

그리고, 잘하는 사람들이나 그렇겠죠라고 빈정대는 꼬락서니를 보아하니 못하시나 본데요.
인터넷 궁금하다고 인터넷하고, 게임하고 싶다고 게임하고, 놀고 싶다고 놀고, 음악 듣고 싶다고 음악 듣고, 만화책 보고 싶다고 만화책 보고,... 1년, 아니... 한 달이라도 제대로 공부하신 적이 있으신 지 궁금합니다?

하긴... 공부를 못하니... 자기가 쓴 글이 자승자박인 지도 모르고 유출은 한두명일텐데라며 주관식 1문제가 운으로 아는 거 나올 수 있으니까 안된다는 글이나 쓰고 있겠군요.

그래서, 서울대가 논술고사를 안 치면, jy님이 서울대 갈 수 있을 것 같습니까?
jy님과는 어차피 별개의 세상의 얘긴데 왜 남의 글이 빈정거리는 겁니까?
계속 호작질이나 하고 노세요. 같잖게 들이대지 좀 말고.
들이댈려면 좀 말이나 되게 들이대던가.
  2005/07/09 14:55 | link | edit or delete | write reply 
논술이 좋기야 좋겠지요.
하지만, 지금 쟁점이 되고 있는 이유는 "서울대가 하면 다 따라한다" 는 점 때문이겠지요.
처음 한두해는 그냥 논술로 볼 수도 있겠지만,
어느순간 사실상의 본고사가 되어 버릴 수도 있으니까..
서울대는 자기 맘대로 하고 싶다고 해도, 서울대가 전국 대학교의 기준이 되는 이상은 서울대 맘대로 서울대 학생을 뽑겠다는건 어렵겠지요. 입시정책에서 서울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마어마 하기 때문에 그러는게 아닐까 합니다.
그렇다고 서울대만 논술 하라고 하면 다른 학교들은 새되는거고..
다 논술 해버리면 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버릴 수도 있고..

서울대가 말하는 그 이상향은 상당히 좋지만, 한국의 교육 현실을 무시할 수도 없는 법이지요.
rokkim
  2005/07/09 16:19 | link | edit or delete | write reply 
jy / 주관식 한문제라면 운으로 쉽게 넘어갈만큼의 난이도가 될 수는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고등학생으로서 갖추고 있는 지적소양을 확인해 볼 수 있을정도는 난이도는 되야하지 않을까요. 평가는 그에 따른 교수가 하는 만큼 학생의 지적수준을 충분히 해아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또 한 분야에 상당히 정통한 실력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그 학생이 대학에 입학할 요건은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번째는 어느정도 마음을 먹고 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진짜로 미칠듯이 공부한다면 1년도 큰 기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단 그정도의 마음을 잡는게 힘든일이겠지만요. 뭐 저도 그렇게 미칠듯이 해본적은 없으니 이건 넘어가도록 하지요.

clowleed / 사실 전 본고사를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글에서도 본고사에 대한 반대의견 같은건 전혀 없다는 사실을 보아도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본고사에 대한 문제제기가 일어나는 이유는 역시 한국에서의 교육현실 때문이겠지요. 교육현실 개혁은 사회의식이 바뀌지 않는이상 무리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결국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_-;
name
passowrd
homesite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187